뉴스/이벤트

뒤로가기
제목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작성자 AURA(ip:)

작성일 2006-05-04 13:03:01

조회 879

평점 0점  

추천 추천하기

내용

 

[사진으로 본 전통의 숨결] (11)금속공예·안성맞춤

우리민족은 예로부터 쇠를 다루는 기술이 뛰어났다.

고구려의 본래 발음이 ‘고구리’인데 그 당시 구리족이 이미 청동 같은 쇠를 잘 다뤄서 청동을 구리라고 부른다는 학설도 있다. 또한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출토되는 금관(金冠)·귀걸이 등을 통하여 찬란한 금속공예의 기술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금속공예는 몸을 치장하는 장신구,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불구(佛具), 수저·촛대·동경·그릇 등 모든 종류의 생활용품 제작에 도입돼 우리 민족문화의 중요한 초석이 되었다.

금속공예는 제작되는 재료에 따라 금·은 등을 사용하는 귀금속공예와 구리·철 등을 사용하여 일상 생활용품을 만드는 공예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공예품중에서 놋쇠로 만든 생활도구를 유기(鍮器)라고 한다. 놋쇠는 구리에다 주석을 섞은 합금이다.

예전 선조들은 여름에는 시원한 사기 반상기를 쓰고 찬바람이 불 무렵부터는 놋그릇을 꺼내 썼다. 한가위 머리에는 넣어 두었던 놋그릇을 거적에 펼치고 온 집안 여인네들이 둘러앉아 곱게 빻은 기왓가루로 녹을 닦아 광을 내 겨우살이를 준비했다.

놋그릇 중에서 경기도 안성 땅에서 만드는 유기는 튼튼하고 질이 좋기로 유명했다.

유기는 장에 내다 파는 기성품인 ‘장내기’와 주문에 의해 만드는 ‘맞춤’이 있었다. 그것을 맞춤으로 할 때는 참으로 일품이었으므로 거기에서 생겨난 말이 ‘안성맞춤’이라고들 한다.

해방 직후만 해도 안성에만 스무곳의 유기공장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김근수(90·무형문화재 77호)옹의 공방에서만 유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전통의 방법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작업장에 들어서자 요란한 망치소리와 쇠깎는 소리로 귀가 먹먹했다.40년 이상 경력을 가진 70대의 유기장 3명이 능숙한 솜씨로 놋그릇의 때를 벗기는 가질을 하고 있었다. 여기 저기 주문받은 제기들이 흩어져 있는 모습에서 시골장터의 정겨움이 느껴진다.

“태평양전쟁 당시 일제가 무기를 만들려고 집안에 있는 놋수저를 공출해 갈만큼 집집마다 놋그릇이 흔했어요.”

김씨는 스무살 나이에 유기공장의 판매원으로 시작해 해방이후 직접 놋그릇을 만들어 왔다. 그릇을 만드는 기법에 따라 놋쇠를 녹여 부어서 그릇을 만드는 주물유기(鑄物鍮器), 망치로 두드려 펴가며 만드는 방짜유기(方字鍮器), 두 방법을 섞은 반방짜유기(半方字鍮器)로 나뉜단다.

“방짜유기로 불리는 안성놋그릇은 식기류와 반상기 및 제향에 필요한 제기 등으로 많이 쓰였어요.” “혼수용으로 주문도 꽤 들어왔었죠.”

하지만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자기 등에 밀려 이제 놋그릇은 우리 식생활문화권에서 아스라히 사라져 가는 것 같아 아쉽단다.

생활이 달라짐에 따라 풍속은 늘 변화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옛방식 그대로 놋그릇을 정성스레 만들어 가듯이 녹이 생기기 쉬운 놋그릇에 광을 내는 우리 여인네의 한결같은 부지런한 마음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글 사진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 우리 나라의 범종은 세계적으로도 ‘한국종’이라는 학명으로 불릴 만큼 독보적이다.
문화재적인 면에서도 종은 금속공예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주철장 원광식의 작업장. 충북 진천)

기사일자 : 2005-11-29

첨부파일

비밀번호
수정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

댓글 수정

이름

비밀번호

내용

/ byte

수정 취소
비밀번호
확인 취소